Skip to content
Go back

AI Engineer Paris 2025 (Day 2)

Published:  at  08:47 AM
YouTube Thumbnail

영상 링크: AI Engineer Paris 2025 (Day 2)
채널명: AI Engineer

AI 엔지니어 파리 2025 (Day 2) 핵심 요약


세부 요약 - 주제별 정리

컨퍼런스 구조와 주요 행사, 운영 방식이 업계의 새로운 협업·학습의 장을 제공함


Neo4j CEO: AI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계층은 실질적 ‘4대 속성’을 충족해야 혁신적 응용이 가능함


Docker VP: 에이전트 시대엔 ‘에이전트 표준 패키징·카탈로그·보안 생태계’가 SaaS/컨테이너 못지않게 중요


GitHub VP: MCP 프로토콜의 실제 도입·운영 경험에서 얻은 ‘도구 선언’, ‘동적 탐색’, ‘보안 인증’, ‘레지스트리’의 실전 교훈


COB CEO: 에이전트 중심의 AI 인프라는 ‘다양한 하드웨어, 샌드박스, 고속 부팅, 비용 최적화, 보안’이 핵심 조건


Black Forest Labs: Flux 모델은 텍스트-이미지 생성/편집 모두에서 신규 알고리즘으로 ‘초고속·초고품질·대규모 생태계’ 구축


H사 CTO: 인간 수준의 자유로운 컴퓨터 UI 자동화 ‘에이전트’는 범용 LLM보다 특화·오픈모델로 실제성과 비용 효율성 모두 극대화


Neo4j/다중 에이전트 구조 데모: 데이터 지향 ‘그래프 RAG 에이전트’의 설계, 다중전문화/휴먼인더루프·자동화의 실제 절차 공개


HuggingFace: 오픈 LLM은 이미 ‘일상적 실전 수준’, 높아진 품질/접근성/효율성/확장성/프로덕션 지원까지 실현


Arise AI: ‘시스템 프롬프트 학습(Prompt Learning)’으로 에이전트가 실환경서 스스로 진화해야 실효적 성과 가능


ZML: Transformer의 한계(N^2 Attention)을 ‘그래프화/분산 실행’으로 돌파, ‘실제 무제한 컨텍스트 + CPU/네트워크 적합화’ 진화


Llama Index: 현실적 ‘노트북 LM 대체 오픈소스’ 패키지, 재사용·복합→MCP툴통합까지 실전 템플릿으로 공개


Google DeepMind: Gemini·VEO·Genie 등 ‘다중모달/다형태/로컬 친화’ 모델군과 Buidl기능 등 AI 서비스 신경계를 선도


Qout: 오픈, 저지연, 초실제감 AI 음성/음향 생성, 다방향·다기능(실시간 번역/청자변환/멀티발화/분리전사 등) 풀두플렉스를 실전 수준으로 선보임


전체 마무리: 커뮤니티, 인프라 기업, 프로덕트, 스타트업, 오픈생태계, 실제 운영과 현장 적용을 결집하여 AI Engineer시대 혁신 뒷받침


수정 요청하기

Previous Post
The True Power of AI Coding - Build Your OWN Workflows (Full Guide)
Next Post
Opening Keynotes - AIE Paris 2025 (Day 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