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영상 링크: The Next Unicorns: 7 Top AI startups from the HF0 Residency
채널명: AI Engineer
HF0 레지던시에서 선정된 7개의 AI 스타트업: 차세대 유니콘 기업들 핵심 요약
- 영상은 HF0 레지던시 프로그램에서 발굴된 7개의 인공지능(AI) 유망 스타트업의 창업자 발표를 통해, 사업 아이템, 시장의 문제 의식, 기술적 혁신 및 핵심성과를 구체적으로 소개함.
-
- Krea(크리아): 기업 고객을 대상으로 한 AI 크리에이티브 슈트로, Fox 등과 협업하여 수백만명의 시청자 대상 광고를 2일 만에 제작·방영할 정도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입증.
-
- OpenHome(오픈홈): AI 기반 스마트 스피커 플랫폼으로, 개발자 생태계와 오픈소스, LLM, ‘완전한 개방성’을 강조. 이미 1만명 이상의 개발자가 다양한 음성 AI 기기와 애플리케이션을 구축 중이며, 차세대 Dev Kit를 무료 배포 중임.
-
- Koframe(코프레임): AI 자율 코딩 에이전트를 기반으로 웹사이트를 완전히 개인 맞춤화·적응형으로 전환함. 짧은 시간에 유럽 최대 여행사에 2천만 달러, 인도 4,000억 불 기업에 클릭률 상승 성과 제공.
-
- Federous AI(페더러스 AI): 단순한 ‘대형화’가 아닌 AI 신뢰도 향상에 주목. 고도의 ‘신뢰성’을 바탕으로 현존 AI 모델들의 한계를 극복했으며, 속도·비용을 1,000배 절감한 퀄키72B 모델 및 액션 수행 특화 에이전트 등 개발.
-
- Upside(업사이드): 영업·마케팅 팀의 무분별한 데이터 집적 문제를 AI 기반 LLM 모델로 해결, 엔터프라이즈 고객을 위한 고도화된 ‘수익 포렌식·그래프’ 지도를 제공하며 출시 전부터 데모 요청 쇄도.
-
- Fish Audio / Open Audio(피시아디오/오픈오디오): 감정·개성을 극대화한 최초의 ‘지시 가능한’ AI 음성 모델 S1 출시, TTS Arena 랭킹에서 11 labs를 압도. 연 5.5백만 불 매출 및 단기간 1억 달러 밸류에이션 확보.
-
- Glow(글로우): 인센티브 프로토콜을 활용, 개발도상국 내 태양광 발전설비 확산과 Glow 토큰 마이닝 결합. 인도, 멕시코, 레바논 등에서 실증 프로젝트 진행, 하루 1,000만 달러의 온체인 수익 기록.
- 그 외, 2.5억명 사용자 보유 소셜앱 창업자의 ‘Favored’, LLM 모델 마켓플레이스 ‘OpenRouter’ 등도 간략히 소개.
- 각 창업자는 구체적 사례, 성과 지표, 도전 과제, 팀 빌딩 메시지를 제시함으로써 AI 스타트업의 차세대 성장 방향을 제시함.
세부 요약 - 주제별 정리
Krea는 빠르고 확장성 높은 AI 크리에이티브 제작 경험을 입증하며 미디어 산업 혁신을 주도함
- Diego Rodriguez(디에고 로드리게스) CTO가 Krea의 성장 스토리와 AI가 미디어 산업에 끼칠 변화의 본질을 다룸.
- “수백만 개의 이미지를 하루에 생성하는 현 시대에서는 ‘이미지 생성’ 자체보다, 방대한 결과 중에서 ‘무엇이 의미 있는가’ 찾는 과정이 중요하다”는 문제의식을 설명.
- Netflix와의 대화를 예로, 도시별 맞춤형 대량 콘텐츠 시대에 ‘콘텐츠 탐색·선별’의 새로운 난제와 가치 강조.
- Krea는 실제로 Fox 등과 협업해, 단 2일 만에 기업이 가입→생산→결제→수백만 대상 방송까지 완성한 성공 스토리 제시.
- 2,500만 사용자 및 막대한 자금(정확한 금액 미공개) 유치, 단 8명 팀으로 실현.
- AI 크리에이티브 툴킷에서의 실질적 도입사례와 ROI, 미래 인재 영입 의사 등 언급함.
OpenHome은 AI 스마트 스피커 생태계 혁신과 개발자 참여의 초대형 흐름을 선도함
- 스마트폰, 노트북에 이어 2023년 소비자 제품 3위가 ‘스마트 스피커’(5억대 판매)임을 강조, 기존 제품의 대화 효용성과 커스터마이즈 부재 지적.
- OpenHome은 ‘세계 최초 AI기반 오픈 스마트 스피커’로, 누구나 원하는 형태·기능의 스피커 및 음성 AI 애플리케이션을 자유롭게 개발하도록 설계.
- Splunk(300억불 기업), MakerDo(50억불 개발자 생태계) 경험 보유 창업진이 데이터 프라이버시 툴 스타트업도 창업·엑시트했던 시너지 언급.
- 현재 1만여 개발자가, AI 토이・로봇・가전 등 다양한 하드웨어·소프트웨어에 음성 AI 구축 중.
- 핵심 가치는 오픈소스성, LLM 호환성, ‘완전 언락’된 자유도임.
- 자체 대시보드에서 수백 개 AI 앱(게임, 인격, 홈오토메이션 툴 등) 즉시 접근・개발 가능.
- Dev Kit 마지막 배치는 수분 만에 완판, 현장 대상 500개 차기 무료 Dev Kit 배포 발표로 개발자 확보에 적극적임.
Koframe은 AI 기반 웹사이트 퍼스널라이제이션으로 마케팅 ROI를 극대화함
- 창업자 Josh, 전 스타트업 20억불 규모까지 성장시킨 경험 기반 소개.
- AI 자율코딩 에이전트를 통해 웹사이트를 정적 ‘하나의 경험’이 아니라 AI가 실시간으로 변경·적응하는 살아 있는 개별 경험으로 변화시킴을 인사이트로 제시.
- 유럽 최대 여행사에 수 주 만에 2천만 달러 가치 실현, 인도 최대(4,000억불) 기업 클릭률 개선 등 실질적 결과 확보.
- 오픈AI와의 직접 마케팅테크 파트너십 달성(업계 유일), 오픈AI 측의 극찬 언급.
- Github 인기 자율코딩 에이전트 개발 경험과 개발자 커뮤니티 내 검증 사례 강조.
- 적극적 팀 영입 및 파트너십 제안 발표로 마무리.
Federous AI는 AI 대형화의 한계를 넘어 신뢰성과 효율성의 새로운 AI 패러다임을 제시함
- 공동창업자인 Eugene이, 자사 개발 Quorki 72B가 Transformer Attention 없이 8 GPU로 세계 최대 규모(72B) 모델임을 발표.
- 해당 모델, 기존 대비 1,000배 저렴·고속 추론 가능하며 주요 성능 동일.
- 90% 이상의 AI 프로젝트 실패 원인은 ‘스케일(모델 대형화)’이 아니라 ‘신뢰성 부족’임을 강조.
- 실제 애플리케이션 신뢰성 45% 수준이면 사용 가치가 급락한다는 점, AI 에이전트의 불완전성 사례(도어대시 주문 비유)로 설명.
- 기업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은 ‘문서, 이메일, 세금 처리 등 반복 과제를 99.9% 신뢰성으로 수행하는 AI’임을 주장.
- 자사 연구에 기반해, Clot, Sonet, Gemini, OpenAI 대비 양식 입력 등 ‘액션’ 분야에서 압도적 신뢰성 입증.
- “AI 엔지니어에게 신뢰성은 곧 매출”이라는 메시지로, 신뢰 기반 AI 솔루션의 수익성과 확장성 강조.
- 페더러스 AI가 추구하는 ‘맞춤형, 고신뢰 AGI’의 미션 밝혀 구체적 협업 의향도 피력함.
Upside는 AI 그래프 분석과 수익 추적 솔루션으로 세일즈·마케팅 데이터를 정비함
- 공동창업자 Jonas의 경력(Branch: 1억 DAU 검색엔진 리드, 15세 기획)과 신규 도전(Public 출시 전 폭발적 데모요청 등) 사례 공유.
- 전통적 영업·마케팅팀이 Salesforce 등에 비효율적으로 데이터 축적만 반복, 데이터 실전 활용(Practitioner) 역량 부재 지적.
- LLM 등 AI 기술로, 비정형 이메일·CRM 데이터에서 핵심 인사이트를 추출하여 ‘정형화된 실세계 상호작용 지도’로 가공함.
- 웹 검색엔진의 “비정형→정형화” 진화와 유사한 혁신임을 강조.
- 플랫폼 출시 소식은 단순 링크드인 포스트 하나로 폭발적 관심과 데모 요청, 유명 엔터프라이즈 잠재고객 확보로 이어짐.
- 앞으로 지식그래프, 데이터에이전트, 그래프러닝 등 AI 기반 심화 데이터 애널리틱스 인재 영입 및 협업 제시.
Fish Audio / Open Audio는 감정·자율성이 극대화된 AI 보이스로 TTS 시장 판도를 바꿈
- 창업자 Sua가 전작 “Fish Audio”에서 4개월 만에 연 40만→550만불, 밸류에이션 1억불 달성한 성장 스토리 소개.
- 개인적 경험(연인과의 신뢰 상실)에서 “사람이 쉽게 사랑할 수 있는 AI, 감정적 음성AI를 만들겠다는 미션” 공유.
- 최초의 ‘지시 가능한(Instructible) 보이스 모델 S1’ 개발: 텍스트뿐만 아니라, ‘어떻게 말할지’ 세밀하게 제어 가능.
- 실시간 데모를 통해 분노, 집중, 거리감 등 감정·뉘앙스까지 반영 가능성을 시연.
- S1은 TTS Arena 랭킹에서 11 labs를 압도하며 “현존 가장 표현력 있는 음성 모델” 입증.
- 최신 경쟁사(11 labs)도 S1의 발표에 맞춰 새 모델을 시연했으나, 실사용/제품화 속도 면에서 피시아디오의 경쟁력 부각.
- fish.audio에서 즉시 체험 및 활용 가능함을 강조.
Glow는 분산 인센티브 구조로 글로벌 태양광 발전소 보급을 획기적으로 촉진함
- 창업자 David Vorick, 전작 Sciacoin(1만불→30억불 시총) 성공 경험과 함께, Glow 개발 배경 및 시장성을 설명.
- Glow는 정부의 기존 태양광 보조금을 분산 인센티브로 전환, “10배 효과로 태양광 보급 가속”을 목표로 함.
- 실제 인도 현지에서 Glow 토큰 마이닝을 위해 건설된 태양광 발전소 사례 사진 공개.
- 인구 증가와 기후 온난화로 송전망 부족→무더위에 냉방 가동 불가→온열사망 문제를 구체적으로 설명.
- 인도, 멕시코, 레바논 등 다수 지역 실증 프로젝트 진행 중이며, 하루 1,000만 달러 이상의 온체인 매출 실적 달성.
- Framework, USV 등에서 3천만 달러 투자 유치 완료, 글로벌 확장 협력자 모집 의향 발표.
Favored와 OpenRouter 등 후속 스타트업은 폭발적 사용자 성장률과 인프라 혁신을 강조함
- Favored 창업자는 2.5억 명 사용자, 연 2천만 달러 매출의 소셜 앱 창업자 경험 뒤, 초고속 성장의 신규 앱을 준비 중임을 간단히 소개.
- OpenRouter의 Alex Atala가 ‘세계 최초 및 최대 LLM 마켓플레이스’의 탄생 이유, 크로스 플랫폼·초저전환비용·모델 비교·API통합 등 세부 기능 설명.
- 2017년 OpenC 공동창업 경력, 2022년말 LLM 인퍼런스 시장이 승자독식 구조로 진화 가능성 인지 후 시장 진입 결정 배경 공유.
- 크롬 확장 프로젝트→OpenRouter로의 진화, 단일 API와 중복없는 결제, 최적 라우팅, 플러그인 및 MCP/Middleware 확대 등 기술 혁신 언급.
- 인퍼런스 시장의 ‘이종 생태계 일원화’라는 핵심 비전과, 실시간 모델 실사용 데이터·랭킹 공개 및 프라이버시 제어 기능 등 차별성 부각.
- 동기간 10~100%월간 성장률 기록, 이미지·엔터프라이즈 기능 등 향후 제품 로드맵 일부 공개.
- 추가적인 팀 영입 및 커뮤니티 참여 유도.
각 창업팀 모두 시장의 구체적 문제와 강력한 성장 지표, 팀 빌딩 의사를 결합한 프레젠테이션으로 차세대 AI 업계의 상징적 모델을 제시함
- 모든 발표팀은 본인들의 사업 미션을 시사적 스토리텔링, 구체적 수치·성과, 실탄/고객 기반 확보, 제품 데모, 시장 내 이슈 분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설득력 있게 전달함.
- 스타트업별로 AI를 통한 본질적 혁신(예: 대규모 콘텐츠 생산, 금융 인센티브–신재생 확산, 음성AI의 감정화 등)을 뚜렷하게 제시.
- 각 창업팀은 엔지니어, 데이터 과학자, 사업/마케팅/오퍼레이션 전문가 등 업계 최고 수준 인재와의 협업 및 채용을 적극 독려함.
- HF0 레지던시가 실제로 AI 창업가–엔지니어 성장의 인큐베이팅 허브로서 작동하고 있음을 부각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