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kip to content
Go back

Latent Space Paper Club: AIEWF Special Edition (Test of Time, DeepSeek R1/V3) - VIbhu Sapra

Published:  at  05:19 PM
YouTube Thumbnail

영상 링크: Latent Space Paper Club: AIEWF Special Edition (Test of Time, DeepSeek R1/V3) — VIbhu Sapra
채널명: AI Engineer

Latent Space Paper Club: AI 연구의 흐름과 DeepSeek R1/V3의 발전 핵심 요약


세부 요약 - 주제별 정리

지난 1년 반의 논문클럽이 오픈AI 연구 커뮤니티의 실질적 네트워크로 성장함

새로운 ‘Test of Time Paper Club’은 AI 기반 논문 공부의 커리큘럼 중심 모델로 도입됨

DeepSeek R1/V3의 2024년 5월 업데이트는 기존과 차원이 다른 성능 도약을 이룸

RL(강화학습) 활용한 추론 파이프라인이 DeepSeek ‘Thinking model’의 키임이 입증됨

4단계(콜드스타트 SFT→RL→리젝션 샘플링→최종 RL)로 DeepSeek R1이 실용적 AI 어시스턴트로 완성됨

DeepSeek 디스틸레이션은 소형 언어모델에서도 10배 파라미터 대형모델의 reasoning 성능을 도달케 함

Chain-of-thought(사고의 흐름) 기반 학습은 모델 내 ‘aha moment(통찰의 순간)’와 추가적 사고 길이를 낳음

오픈소스 공개와 MIT 라이선스는 AI 연구 및 프랙티컬 응용 확산의 촉진제로 작용

RL 기반 reasoning은 대형 프라이빗 모델과 오픈소스 모델 모두에서 소형화/효율화 움직임을 견인함

벤치마크와 ‘이름 짓기 문제’, 향후 과제 및 오픈 연구 문화의 중요성이 강조됨

논문클럽의 새 커리큘럼과 오픈 커뮤니티 참여로 AI 연구 저변을 확장함

DeepSeek 모델 사례는 reasoning의 새로운 차원(추론 길이, deep distillation, RL self-evolution) 가능성을 증명함


수정 요청하기

Previous Post
Human seeded Evals - Samuel Colvin, Pydantic
Next Post
Build ANY AI Agent with this Context Engineering Blueprint